> 역사와 문화 > 민속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0   임자면 재원리 재원마을 뱃고사 신안문화원 2006/3/23 3645


    임자면 재원리 재원마을 뱃고사

    임자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직선거리 약 9km 떨어진 곳으로, 광산리 하우마을 포구에서 배를 타고 약 20분 정도 걸리는 곳에 재원도가 있다. 재원도에는 임자면 소재지 쪽으로 바라보고 있는 재원마을이, 그리고 이 마을 뒷산인 아미산의 큰 재를 넘어 예미마을이 있다. 재원리라는 행정상의 리에는 재원도와, 이 섬에서 약 8km 떨어진 부남군도가 포함된다. 마을 앞쪽에 어선이 정박하는 포구가 펼쳐져 있고, 포구에 나란히 술집·다방·여인숙들이 늘어서 있다. 과거에 5월 초순에서 8월말까지 병어·부서·민어 등의 파시가 열려 300척의 배가 이 마을에 정박하는 등 대단한 번성을 누렸던 적이 있다. 술집 등의 영업소들은 이때 들어선 것이다. 그런 현재는 어획이 좋지 않아 파시가 형성되지 않고, 이 마을 어민들이나 이따금 정박하는 외지 선원들이 이 영업소들을 찾을 뿐이다. 이 마을은 바다에 접해 있으나 약 10호의 가구들만이 낭장망·유자망·연승의 배를 갖고 있고 나머지는 대부분 농업, 반농반어 형식의 뱃일을 하고 있다. 포구에서 상업을 하는 가구도 10호 가량된다.
    주민들이 재원도 근해에서 잡는 대표적 어류로는 4·5월에서 7월말까지의 게, 7월 하순에서 9·10월까지의 민어를 들 수 있다. 한편 2월부터 약 한 달 간은 원해에서 농어잡이를 한다. 새우는 재원도 근해 치마도의 ‘치마도 밖골’이라는 바다에서, 그리고 노둑도와 재원도 사이의 바다에서 잡고 있다. 그리고 민어는 재원도 동쪽 ‘재원앞’, 남쪽 ‘재원문턱’, 남서쪽 ‘치마도안골’, 서쪽 ‘노리기 둠벙’이라는 바다에서 주로 잡는다.

    (1) 뱃고사

    뱃고사에는 출어 고사, 명절 고사, 배내리기(진수) 고사가 있다. 출어 시 지내는 출어 고사는 열무새, 서무새날 밀물이 들어와 조류가 어느 정도 잔잔해졌을 때에 거행된다. 명절고사는 상원·추석 등 세시에 지내는 고사로, 모든 고사 중에서 상원의 고사가 가장 성대하다. 배내리기 고사는 말 그대로, 배를 사거나 새로 건조하여 진수할 때 지내는 고사이다. 근래에는 목포에서 배를 건조하여 갖고 오기 때문에 이곳에서 진수하는 고사는 없다. 이 고사들 중 출어고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어고사는 열무새, 서무새날 가장 많이 행해진다. 원칙적으로 선주가 고사를 주관하며 선주에 부정이 끼었을 경우에는 선장 혹은 선원의 우두머리가 주관한다. 다만 어획이 지나치게 빈약할 경우, 혹은 사고가 잦을 경우에는 무당을 데려다가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제주가 될 선주는 고사날 자신의 일진을 보고 그날 일진이 나쁘면, 선장이나 선원 우두머리의 일진을 보고 그를 제주로 선정한다. 제주가 된 사람은 그 후부터 가정에 상·출산이 없고 가족원중 월경하는 이가 없어야 하는 등, 온갖 부정을 없이 해야 한다.
    선주는 제물로 쓰이는 어물을 마련하기 위해 최근 출어 시 첫 어획에서 잡힌 크고 귀한 것을 선택하여 배에서 말리거나 소금에 절여 둔다. 조기가 가장 상서로운 고기라 하여 조기만큼은 반드시 제물로 마련해 둔다. 반면 갈치·장어·홍어·가재미 등은 절대로 제물로 올리지 않는다. 이 고기들은 비늘이 없어 여느 어류에 비해 비정상적이고 흉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특히 갈치·장어는 몸체가 길어 뱀을 연상시킨다 하여 기피된다.
    고사 시, 우선 뱃서낭 앞에 상을 차리고, 고물·이물 순으로 상을 차린다. 그 후 제주가 각 상마다 술을 한잔씩 붓고 재배를 하는 간단한 절차가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각 상에 놓인 음식들 중 일부를 떼어 바가지에 넣고, 고루 섞어 바다에 뿌리면서 용왕에게 헌식을 한다. 헌식 시에는 “사고없이 잘 지내게 해주십시오”라는 구두의 기원이 행해진다.







글번호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사항] 이곳 자료는 신안군지를 토대로 함
35 장산도․하의도의 세시풍속   신안문화원 2006/03/23 8704
34 안좌면 방월리 세시풍속   신안문화원 2006/03/23 4489
33 신의면 굴암리 굴암마을 배서낭·뱃고사·선기·기타   신안문화원 2006/03/23 3681
32 비금면 신원리 원평마을 배서낭·뱃고사·선기·기타   신안문화원 2006/03/23 3826
31 자은면 고장리 사월포마을 뱃서낭·뱃고사·용왕제   신안문화원 2006/03/23 7326
30 임자면 재원리 재원마을 뱃고사   신안문화원 2006/03/23 3646
29 임자면 삼두리 삼두마을 뱃서낭·뱃고사·선기   신안문화원 2006/03/23 3428
28 비금면 내월리 월포마을 대장군 장승과 장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880
27 도초면 외남리 외상마을 장승   신안문화원 2006/03/23 2897
26 도초면 고란리 고란마을 장승   신안문화원 2006/03/23 3473
25 지도읍 당촌리 후촌마을 할머니․할아버지 장성   신안문화원 2006/03/23 3176
24 안좌면 박지리 박지마을 당지(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992
23 장산면 마율리 율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4013
22 장산면 다수리 막금마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446
21 신의면 하태서리 굴암마을 당제, 거릿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547
20 신의면 상태3구 모롱마을 당제, 거리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822
19 흑산면 비리 마리마을 산제, 당제, 둑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425
18 흑산면 비리 비리마을 당제   신안문화원 2006/03/23 2926
17 비금면 내월리 내촌마을 당제와 거릿제   신안문화원 2006/03/23 3651

page 1 2



(58753) 전남 목포시 수강로3번길 14 신안군별관 2층 / 전화 : 061) 242-8131 / 팩스 : 061) 243-8132 / sa8131@kccf.or.kr
COPYRIGHT 2006 SHINANCULTURE.NET. ALL RIGHTS RESERVED